인프라/서버(OS)

리눅스 커널 이야기 - 서버 정보 확인하기

인프라베어 2025. 4. 30. 00:07

실습환경

AWS EC2

Type : t2.micro

OS: RHEL 9.5

Disk: 10GB

시스템 구성정보 확인

uname -a

커널 정보 확인

  - 커널 이름 (Linux)
  - 호스트명
  - 커널 버전 (예: 5.14.0-503.31.1.el9_5.x86_64)
  - 커널 릴리즈 날짜 및 시간
  - 머신 아키텍처 (x86_64)
  - 프로세서 종류
  - 하드웨어 플랫폼
  - 운영체제 종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

x86계열 64bit OS확인

 

dmesg

커널의 디버그 메시지로 커널 부팅 시 나오는 메시지와 운영중 발생하는 메시지를 볼 수 있는 명령어  
커널의 동작과정, 드라이버 실행, 커널 파라미터 확인 가능  
커널 파라미터는 /proc/cmdline 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CPU 정보 확인

dmidecode

시스템의 BIOS, CPU, 메모리, 시스템 제조사 등의 하드웨어 정보(DMI)를 출력하는 명령어

  dmidecode               # 전체 DMI 정보 출력
  dmidecode -t bios       # BIOS 정보만 출력
  dmidecode -t processor  # CPU 정보만 출력

Xen 기반의 가상화 서버이며 4.11.amazon BIOS를 사용함을 확인할 수 있음 

메모리 정보 확인

dmidecode -t memory

시스템의 메모리 슬롯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메모리 슬롯과 전체 메모리의 용량을 확인해볼 수 있음

dmidecode -t memory | grep -i size:

실제 장착된 메모리의 개수 및 용량을 확인해볼 수 있으며 free -m을 통해 OS에서 인식된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음

- 메모리 인식 상태 확인 가능

디스크 정보 확인

df -h

디스크 파티션의 총 용량, 사용 중, 남은 공간 출력

각 파티션의 마운트정보 확인 가능

 

디스크 이름에 따른 스토리지 타입

hda, hdb IDE (옛날 방식) 개인용 PC에서 사용
sda, sdb SCSI, SATA, SAS 서버 및 대부분의 최신 시스템
vda, vdb VirtIO (가상 디스크) KVM, QEMU 기반 VM
xvda, xvdb Xen Paravirtualized 디스크 Xen 기반 VM

 

실습에 사용한 EC2의 경우 xvda, Vendor: Xen 이 출력되는 것을 보고 Xen기반의 VM인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리눅스 명령어를 통해 장비 및 제조사명, 메모리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것을 알 수 있었고, 메모리의 경우 물리서버 조작시 직접 확인을 해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