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폼 2

[Terraform, NCP, GCP] NCP 서버에서 GCP Cloud Storage 생성하기

회사에서 GCP를 공부하고 있는데 저번 토요일에 배운 NCP로 서버를 띄워서 Terraform으로 GCP의 스토리지를 생성해 보았다.단순하지만 Terraform을 실행시킬 서버가 필요했는데 크레딧이 생겨서 NCP로 했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NCP 퍼블릭 영역에 bastion 서버 생성(퍼블릭 IP 할당)bastion에 GCP CLI설치GCP auth 인증(+ 서비스 계정 인증)환경변수 적용bastion에 Terraform설치GCP Storage 생성GCP CLI 설치 및 인증 커맨드#GCP CLI설치curl -O https://dl.google.com/dl/cloudsdk/channels/rapid/downloads/google-cloud-cli-linux-x86_64.tar.gztar -xf goog..

IaC 2024.07.15

[Terraform] vSphere를 이용한 3티어 아키텍처 구축

Terraform과 Ansible을 이용한 3티어 아키텍처 자동화 구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주어진 과제는 자동화 툴을 이용하여 WEB, WAS, DB로 구성된 VM을 생성하고 Apache, Tomcat, MariaDB를 자동으로 설치 및 연동하는 과제였다. 앤서블과 테라폼 모두 처음 사용해보았지만 다양한 레퍼런스들을 참조해서 완성할 수 있었다. 가장먼저했던 고민은 어느영역까지 자동화 할 것인가? 라는 부분이었다.앤서블과 테라폼 모두 자동화를 하는 툴이지만 VM생성, SW설치 등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것이 중요했다. 조사를 조금해보니 Ansible은 SSH를 연결하여 각 노드들에 명령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에 가까웠고, 테라폼은 생성된 VM이 없어도 Provider의 API를 통해 직접적..

IaC 2024.05.13